한식의 정체를 바로 알자
한식의 정체를 바로 알자
  • 권대영 한국과학기술한림원 농수산학부장
  • 승인 2021.08.24 17:54
  • 댓글 4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사람들이 요즈음 음식에 대해 많은 관심을 갖게 됐다. 어떤 음식이 몸에 좋은가부터 시작해 어디에 가면 어떤 음식이 유명한지, 그리고 어떻게 하면 맛있게 먹을 수 있는지에 대해 관심이 많다. 이제는 그 음식에 대해 한마디씩 할 수 있는 스토리 등 콘텐츠에도 관심이 많아지고 있다. 

음식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다 보니 음식의 맛이나 유래, 역사, 문화에 대해 한마디 한다는 사람들이 여기저기 생겨났다. TV에 나와서 비과학적인 이야기를 꾸며 말하는 사람들이 음식 전문가인 양 행세하는 모습이 여기저기서 눈에 띈다. 

전통적으로 우리나라는 양반과 양반이 아닌 사람으로 차별을 했고 배운 사람과 못 배운 사람 간에 차별이 아주 심했다. 물론 남자와 여자의 차별도 매우 심한 나라였다. 그래서 어딘가에서 유식한 척, 배운 사람인 척하는 심리가 매우 강했다.

예나 지금이나 어디 가서 공자 맹자 풍월을 읊으면 양반 축에 끼고 우리말보다 한자를 대고 이야기하거나 한자 기록을 갖고 이야기하면 대단한 사람으로 여긴다. 우리 국어사전에도 똥은 변(便)의 상스러운 말이라고 정의하기까지 한다. 대변이라고 해야 점잖은 사람으로 취급하는 것이다. 즉 어디 가서 배운 사람 행세하려면 한자어를 조금 쓸 줄 알아야 유식한 척 할 수 있다.

한자는 좋은 글자가 아님에도 글자가 너무 많아서 배우기가 어렵다는 이유로 우리말보다 한자로 씨부렁거리면 배운 사람 취급받는 풍토가 깔려 있는 것이다. 실제로 한자를 쓰고 고문헌을 둘러대면서 우리 음식 이야기를 하면 다들 혹해서 진짜인 줄 안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한자어로는 우리 민족의 역사나 정서, 스토리를 결코 제대로 반영할 수 없다. 왜냐하면 한자는 우리말이 아니어서 우리 정서를 대변할 수가 없고, 또한 한자는 뜻글자라서 해석하는 데 많은 오류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서양은 고대 철학을 기반으로 과학을 발전시켜 오는 동안 우리 민족은 2000년동안 중국 한자 책의 해석을 놓고 당파를 짓거나 싸워 왔다. 

우리 음식 이야기를 할 때는 민족학적, 언어적, 문화적, 농경학적 뿌리에 기반해 역사를 이야기해야 제대로 본질을 알 수 있다. 그러나 많은 사람들이 이러한 어려운 일에는 투자하지 않고 중국책과 한자로 된 책을 읽고 우리 음식의 본질과 역사를 이야기해왔고 그것은 그것은 진실인 양 인식돼 왔다.

예를 들면 산림경제가 중국의 제민요술, 거가필용을 기반으로 홍만선이 쓴 책이고 증보산림경제는 산림경제에 우리 음식을 보완해 증보한 것을 모르고 우리 음식 역사의 뿌리를 산림경제나 증보산림경제에서 찾은 양 우쭐대며 대중에게 이야기하면 대단한 배운 사람이 이야기한 것으로 믿고 받아들인다. 참으로 잘못된 방법의 역사 인식이고 우리 음식 역사의 왜곡이다. 그런데 이런 사람들이 우리 음식의 역사를 왜곡하고 판치고 돌아다닌다. 

또한 이들이 우리 말이나 음식 이름의 뿌리를 한자어에서 찾았다고 방송에 나와 이야기하면 진행자도 거들곤 하는데 거의 틀린 이야기다. 우리 민족은 중국과 뿌리가 다르고 우리 언어는 중국과 언어구조도 다르며 우리 음식 문화도 중국과 근본적으로 다르다.

우리 음식은 손맛이고 중국 음식은 불맛인 것만 보아도 다른데 한자 교조주의에 빠진 사람들은 우리 음식 이름이 어디서 왔지 하면서 한자만 생각하고 있다. 우리말 김치가 沈菜에서 왔다거나 청계산 매봉이 매화가 많아서 梅峰에서 왔다거나 오늘 내일 모레 중 내일이 來日에서 왔다거나 장마가 長溤에서 왔다고 하는 하는 등 모든 우리 말이나 음식 이름을 중국 한자에서 찾으면서 왜곡하고 또 왜곡된 그 한자의 뜻으로 뜻을 왜곡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덜 배우고 잘못 배운 사람들이 우리 음식의 문화와 역사를 왜곡하고 있다.

이러한 한자책과 한자어를 기반으로 한 잘못된 인식이 우리 음식의 역사나 정체를 왜곡한 경우가 수두룩하다.

더 큰 문제는 이처럼 왜곡을 많이 하는 사람들이 카르텔을 이뤄 우리 음식 역사를 보는 데 그들이 이야기한 것들이 마치 진리인 양 확증 편향적으로 해석되는 것이다.

임진왜란 전에 김치와 고추, 배추, 고추장이 있었다는 수많은 기록이 나옴에도 불구하고 그들이 잘못 해석한 한자책의 내용이 진리인 것처럼 책의 내용에 부합한 수많은 가설이 만들어지고 있다. 심지어는 김치의 역사가 120년밖에 안 됐다고 말하는 교수가 나오기도 한다. 

남들이 이야기한 것이 진실인지 거짓인지 모르고 주어다가 이야기하기는 쉽다. 그러나 우리 음식의 역사적 진실을 찾고 연구하고 이야기하기는 쉽지 않다. 우리 음식의 본질과 역사, 본체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잘못된 역사를 바로잡고 제대로 된 우리 음식의 본질을 보여줘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4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윤진한 2021-08-25 03:19:44
현재는 5,000만 유교도의 여러 단체가 있는데 최고 교육기구는 성균관대이며,문중별 종친회가 있고, 성균관도 석전대제로 유교의 부분집합중 하나임.

윤진한 2021-08-25 03:19:09
기자조선으로 始原유교유입, 기자조선(始原유교) 마지막왕 기준의 후손이 삼한건설, 삼한(始原유교)의 영토에서 백제(마한).가야(변한).신라(진한)가 성립됨.@동아시아는 수천년 유교사회입니다. 공자님 이전의 始原유교는 기독교에서 말하는 예수님 이전의 구약성서 시대에 해당됩니다. 하느님(天).神明,조상신 숭배가 유교의 큰 뿌리입니다. 유교는 국교로, 주변부 사상으로는 도가나, 음양가, 묵가사상등이 형성되었고, 법가사상은 이와는 다른 현실적인 사상이며, 국가의 통치에 필요한 방법이었습니다(진나라때 강성하고, 유교나 도교와 달리, 한나라때 율령이 반포되어 이후 동아시아에 유교와 별도의 성격으로 국가통치에 활용됨).@한국 유교 최고 제사장은 고종황제 후손인 황사손(이 원)임. 불교 Monkey 일본 항복후, 현재는 5

윤진한 2021-08-25 03:18:11
三韓유교祭天의식. 국사에서 고려는 치국의道유교,수신의道불교.

세계사로 보면 한나라때 동아시아 지역(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가 성립되어 지금까지 전승. 이와 함께 한국 유교도 살펴봄.한국 국사는 고려는 치국의 도 유교, 수신의 도 불교라고 가르침. 고려시대는 유교 최고대학 국자감을 중심으로, 고구려 태학, 백제 오경박사, 통일신라 국학의 유교교육을 실시함. 유교사관 삼국사기가 정사(正史)이던 나라.
http://blog.daum.net/macmaca/3057

@무속은 은.주시대 始原유교의 하늘숭배,산천숭배,조상숭배, 주역(점)등에서 파생된 유교의 지류.

역사적 순서로 보면 황하문명에서 은.주시대의 시원유교[始原유교:공자님 이전 하느님(天)과 여러 神明을 숭배]에서, 한국 고조선의 기자

윤진한 2021-08-25 03:17:22
최근기준으로야 무엇이든 주장할수 있지만, 세계사나 동양사,한국사등과의 대조가 필요할것입니다. 한국은 세계사의 정설로,한나라때 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에 성립된 세계종교 유교국으로 수천년 이어진 나라임. 불교는 고구려 소수림왕때 외래종교 형태로 단순 포교되어, 줄곧 정규교육기관도 없이, 주변부 일부 신앙으로 이어지며 유교 밑에서 도교.불교가 혼합되어 이어짐. 단군신화는 고려 후기 중 일연이 국가에서 편찬한 정사인 삼국사기(유교사관)를 모방하여, 개인적으로 불교설화 형식으로 창작한 야사라는게 정설입니다.

유교,공자.은,주시대始原유교때 하느님.조상신숭배.세계사로보면 한나라때 공자님도제사,동아시아(중국,한국,베트남,몽고지역)에 세계종교 유교성립,수천년전승.한국은殷후손 기자조선 기준왕의 서씨,한씨사용,

  • 서울특별시 송파구 중대로 174
  • 대표전화 : 02-443-4363
  • 청소년보호책임자 : 우대성
  • 법인명 : 한국외식정보(주)
  • 제호 : 식품외식경제
  • 등록번호 : 서울 다 06637
  • 등록일 : 1996-05-07
  • 발행일 : 1996-05-07
  • 발행인 : 박형희
  • 편집인 : 박형희
  • 식품외식경제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열린보도원칙」 당 매체는 독자와 취재원 등 뉴스이용자의 권리 보장을 위해 반론이나 정정보도, 추후보도를 요청할 수 있는 창구를 열어두고 있음을 알려드립니다.
    고충처리인 정태권 02-443-4363 foodnews@foodbank.co.kr
  • Copyright © 2024 식품외식경제. All rights reserved. mail to food_dine@foodbank.co.kr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