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차 산업혁명시대, 스마트HACCP 및 블록체인 기술 적용 등 첨단화 필수

국민의힘 백종헌 국회의원실이 주최하고 중소기업식품발전협회(회장 이수동)과 한국스마트HACCP관리단이 주관한 ‘중소식품기업의 디지털 전환’ 국회 정책토론회가 23일 오후 2시 국회의원회관 제2 소회의실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4차 산업혁명시대 중소식품기업의 디지털 전환을 위해 식품산업진흥법 법률개정과 식품산업의 스마트HACCP 및 블록체인 기술 적용 등을 제시하고자 마련됐으며 국민의힘 백종헌 의원과 이수동 중소기업식품발전협회 회장을 비롯해 산관학연 전문가 등 100여 명이 참석했다.
국민의힘 백종헌 국회의원은 이날 개회사를 통해 “이번 토론회에서 식품업계 중소기업이 필요로 하는 법률안 개정과 중소 농식품기업의 스마트화 전략을 위한 ‘스마트HACCP 팩토리 구축사업’, 온라인 판매채널 확대를 위한 ‘스마트 FOOD마켓 활성화’ 등 시대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고견과 제안들이 오갈 수 있길 기대한다”며 “이를 계기로 식품업계의 중소기업은 물론 대기업까지 더욱 발전할 수 있도록 하는 상생방안이 모색될 수 있길 바란다”고 말했다.
국민의힘 주호영 원내대표는 축사를 통해 “제4차 산업혁명시대를 맞아 중소식품기업들은 국제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새로운 기술개발과 경쟁력 향상을 위한 방향을 적극적으로 모색하고 있다”며 “우리 식품산업을 첨단화하고 우리의 첨단기술로 세계식품안전의 표준을 만들어 나갈 수 있다는 의지와 자신감이 오늘 토론회를 더욱 뜻깊은 자리로 만드는 동력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이수동 중소기업식품발전협회 회장은 환영사를 통해 “첨단기술 확보를 기반으로 글로벌마케팅 시장으로 진출하는 것은 K-푸드의 독창성과 고유성을 보장하고 식품안전성을 확보할 뿐만 아니라 수출경쟁력을 더 높이는 견인차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제도적, 기술적 보완을 통해 중소식품기업이 자연스럽게 제도권 내로 진입하게 하고 버률이 중소식품기업의 발전을 지원하는 근거 규정으로 작용된다면 이는 우리나라 중소식품기업이 시대적 흐름에 발맞춰 한 단계로 도약하는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이날 토론회에서는 △4차 산업시대 중소기업을 위한 식품산업진흥법 법률개정의 필요성(권대영 전 한국식품연구원장) △식품산업의 블록체인 기술 적용(윤건수 ㈜시그마NFT 대표·곽진영 시그마체인 대표) △식품 분류코드 일원화 필요성과 스마트HACCP 팩토리(김태현 IT팩토리 대표)를 주제로 한 발표가 이어졌다.
권대영 전 한국식품연구원장(호서대 교수)은 중소식품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첨단기술 적용이 중요하다며 식품산업진흥법 개정을 통해 식품산업이 첨단 ICT사업과 연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내용을 신설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권대영 교수는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상생협력할 수 있는 정부의 지원제도는 수없이 많다. 예를 들면 중소벤처기업부의 업종별 특화 스마트공장 구축지원 사업이나 대중소상생형 스마트공장 지원 사업 등은 동반성장이나 상생협력의 좋은 예가 될 수 있다”며 “이는 대기업과 협력업체 간 기술격차를 줄이고 함께 발전해 나가는 원동력이 될 수 있는 만큼 지원사업의 적극적인 홍보와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윤건수 ㈜시그마NFT 대표는 “블록체인 기술은 고유기술의 위변조를 방지하고 그 고유성을 인정하는 첨단기술로 식품NFT, 가상공간, 빅데이터 활용으로 가는 중심기술”이라고 설명하며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HACCP을 비롯한 첨단기술의 식품분야 적용이야말로 가장 시급한 식품산업의 첨단화를 위한 전제라고 강조했다.
끝으로 김태현 IT팩토리 대표는 “식품산업은 항상 그 중심에 위생안전이 있고 위생안전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이 발전하고 있다”며 앞으로는 첨단기술을 접목한 스마트HACCP을 중심으로 식품산업이 발전해 나가야 한다고 제언했다.
김태현 대표는 “중소기업 기준으로 보면 식품관련 산업 시장이 타 업종에 비해 상당히 크기 때문에 식품중소기업을 첨단화하기 위해서는 식품분야 지원 자금을 더 확대할 필요가 있다”며 “지원 자금을 확대해 식품산업의 첨단화 작업이 제대로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