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자 54.2%, “식품업계 이윤 증대 위해 필요 이상으로 가격 인상”

최근 고물가 현상이 장기간 이어지고 있는 가운데 국민 10명 중 8명이 점심값 등 외식비용이 올랐다고 체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6일 한국소비자단체협의회가 발간한 월간소비자 10월호에 따르면 전국의 만 19세~69세 성인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윤석열 정부 물가안정정책 관련 소비자 인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소비자의 83.3%가 점심값 등 외식비용이 ‘올랐다’고 응답한 것으로 집계됐다. 비슷하거나 떨어졌다고 응답한 경우는 각각 10.7%, 6.0%로 조사됐다.
실제로 지난 2일 통계청이 발표한 ‘10월 소비자물가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는 109.21로 전년 동월 대비 5.7% 올랐다. 특히 물가 상승에 가장 크게 영향을 준 것은 외식 물가로 나타났다. 지난달 외식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같은 달보다 8.9%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외식 물가지수는 113.16으로 외식분야가 포함된 개인 서비스 품목 중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품목별로 살펴보면 통계청이 조사한 39개 외식 품목의 물가가 전부 상승했다. 짜장면이 13.2%로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고 다음으로 김밥(13%), 갈비탕(12.1%), 라면(12.1%), 햄버거(12.0%) 등이 뒤를 이었다.
국내 주요 식품업계가 제품 가격 인상을 결정한 것에 대해서는 54.2%가 ‘이윤 증대를 위해 필요 이상으로 가격을 인상한다’고 답했다. 이어 ‘물가상승에 따른 영업비용 상승 폭을 상쇄할 정도로만 가격을 인상한다’(39.2%), ‘물가상승에 따른 영업비용 상승 폭보다 적은 폭으로 가격을 인상한다’(6.6%) 순으로 집계됐다.

또한 정부가 물가안정대책으로 농축산물 할당관세 정책, 수매비축 정책 등을 추진하고 있는 것과 관련 ‘정부의 물가안정대책에 따른 가격안정 효과를 체감하고 있는가’라는 질문에 대해서는 73%가 ‘체감하지 못한다’고 응답했다. ‘어느 정도 체감하고 있다’는 응답은 27.0%에 그쳤다.
한편 지난 2월부터 도입된 ‘프랜차이즈 외식가격 공표제’에 대해서는 응답자의 73.4%가 모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랜차이즈 외식가격 공표제는 외식물가 상승으로 인한 소비자 부담을 줄이고 합리적인 선택을 위해 올해 2월부터 정부가 도입한 물가정책의 일환이다. 이는 주요 외식 프랜차이즈 대표메뉴의 가격 및 인상률 등 정보를 제공하는 제도로 소비자가 한국농수산유통공사(aT) 홈페이지 등에서 가격 정보를 비교할 수 있도록 지원해왔다. 하지만 현 정부 출범 이후 업계의 폐지요구 등으로 석 달 만인 올해 5월 폐지된 바 있다.
프랜차이즈 외식가격 공표제의 도입 필요성에 대해 묻는 질문에는 91%가 ‘필요하다’고 답했으며 ‘필요 없다’는 응답은 9.0%에 그쳤다.